본문 바로가기

컴퓨터공학/데이터베이스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접속하는 법

TNS (Transparent Network Substrate)
오라클에서 제공하는 공통 인터페이스로 데이터 송수신 등 일반적인 통신 처리
오라클 서버에서 사용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은
TCP/IP, SSL(Secure Socket Layer)를 적용한 TCP/IP와 파이프 등이 있다.

tnsnames.ora

데이터베이스 주소를 정의한 파일

이게 있으면 SID와 Service name을 직접 입력하지 않아도 데이터베이스에 연결 가능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

1. 데이터베이스 주소

2. 데이터베이스 포트

3. SID/Service name

4. 사용자이름/ 사용자비밀번호

데이터베이스 주소를 알아야 데이터베이스 컴퓨터로 갈 것이고

데이터베이스 포트를 알아야 서버에서 프로그램 위치를 알 것이고

SID/Service name을 알아야 인스턴스에 붙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것이고

권한을 가진 이용자가 되어야 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세 부분만 고치면 된다.

[ALIAS이름] :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를 뭐라고 부를건지 쓰는 곳

[아이피주소] : 데이터베이스 IP 입력하는 곳

[서비스 이름] : 오라클 처음 설치할 때 설정한 이름을 넣는다

서비스 이름은 SqlPlus에서 sys as sysdba 로그인한 다음 select name from v$database; 을 입력해서 볼 수 있다.

보통 ORCL이다. 

admin 폴더에 tnsnames.ora를 넣는다.

컴퓨터마다 경로가 다른데

보통 C드라이브에 가서 product\11.2.0\dbhome_1\network\admin

이렇게 따라가면 있음.

 

 

 

이렇게 하고 폴더에 넣어주면

별칭이 이렇게 뜬다. 

tnsnames.ora 안에 DB 접속 정보가 다 있으므로

이거와 사용자 이름/ 비밀번호만 입력하면 된다. 

SqlDeveloper 든 Toad Oracle이든 

인터페이스는 다를 지라도 다 같은 원리로 작동한다. 

 

접속 유형 중에 Direct 방식이 있는데 이건 직접 입력해서 접속하는 방식이다.

TNS는 파일 방식, Direct는 입력 방식

여러 사람과 협업 시 TNS 방식이 편할 수 있는데

파일 하나 만들어 놓고 공유하면 되고

수정 사항이 있으면 파일만 수정하면 되니까 TNS 방식이 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