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공학/네트워크

데이터통신 일반

프로토콜 - 인터넷을 하기 위한 통신 약속

 HTTP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FTP : file transfer protocol

 

 

 

신호 변환 장치

 

Modem

MODEM 변복조기, 신호변환장치

변조 Modulation

복조 DeModulation

디지털에서 아날로그로 : 변조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 복조

컴퓨터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조하여 보내고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신로로 복조하여 목적지 컴퓨터에서 수신한다.

통신제어장치 (CCU)

에러검출한다.

 

 

디지털을 아날로그로 바꿔서 보내는 건 모뎀

아날로그를 디지털로 바꿔서 보내는 건 코덱

(ex 전화기, 사운드 카드)

 

DSU

 

DSU ( Digital Service Unit )

인터넷 전용 회선

모뎀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을 하지만 DSU는 디지털 그대로 씀

디지털을 디지털로 전송하는데 왜 DSU가 필요할까?

전송하는 전기 신호의 전압이 작기 때문에 멀리 보내지 못한다.

전송에 부적합. 그래서 신호 증폭기가 필요하다. 

 

전기에서 +와 -가 있을 때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신호는 +만 이용하는 단극성 디지털 신호이다.

DSU는 양극성 신호로 증폭한다.

 

즉 전송 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CSU도 같은 장치인데

DSU는 560K 이하 속도

CSU는 560K 이상 속도

 

 

 

 

Terminal (단말기)

Dummy Terminal

처리 능력이 없는 단말기

원격입출력 장치

입출력만 가능

 

Intelligent Terminal

여러가지 처리 능력을 가지고 있는 단말기

 

 

회선구성방식

 

 

동기식 전송

타이밍을 맞춘다.

예시) 야구에서 투수와 포수가 신호를 주고 받고 타이밍에 맞춰서 공을 던진다.

 

비동기식 전송

타이밍을 맞추지 않고 그냥 보낸다.

예시) 키보드를 친다. 칠 때마다 입력된다.

 

 

 

근거리 통신망

LAN ( Local Area Network )

WAN ( Wide Area Network )

게이트웨이로 나가느냐 안 나가느냐에 따라 다르다.

 

Gateway

: 하나의 랜이 다른 랜과 연결하기 위해서 통과해야 하는 장치

게이트웨이를 통과해서 다른 랜에 연결되면 WAN

게이트웨이 없이 안에서만 놀면 LAN

 

 

LAN 

Ethernet 방식 LAN 

1973년 제록스에서 만든 LAN 방식. 

아직까지 쓰이고 있음.

LAN이나 Ethernet 이나 같은 말 

CSMA-CD 방식으로 전송

 

CSMA-CD ( Carrier-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

데이터 충돌을 막기위해 송신 데이터가 없을 때만 데이터로 송신한다.

다른 장비가 송신 중이면 송신을 중단하고 대기했다가 순서에 따라 다시 송신하는 방식이다.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먼저 신호를 보내보고 사용 중인지 확인한다.

충돌하면 데이터 전송 중단

일정 시간 지난 후 데이터 전송 재시도 

전송량이 적으면 효율적이지만 존송량이 많을 때는 충돌이 잦아서 지연시간이 증가한다.

 

CDMA-CD 와 헷갈릴 수 있는데  코드분할다중화로 이건 핸드폰에 쓰는 기술

 

 

 

 

Token Ring 

 

 

 

랜카드

모뎀에서 오는 신호를 받아주는 하드웨어 

요즘에는 메인보드에 내장되어 있음

 

RJ 45 커넥터

UTP (Unshield Twist Pair cable) 와 STP(Shield Twist Pair cable)

피복이 덮여 씌여있지 않아 보호받지 않고 꼬여있는 케이블

꼬여있는 이유는 와류현상을 막기 위해서다

전기가 흐르면 전자기 유도현상으로 자기장이 생겨서 영향을 받는다.

방지하기 위해서 꼬이면 각도가 비스듬해져서 덜 영향을 받는다.  

 

 

cable 규격

10 Base T - UPT 

10 Base 2 - 동축 케이블( BNC )

10 Base 5 - 

10은 10Mbps 속도까지 보낼 수 있다 를 의미하고 T는 Thin을 의미한다. 

앞 숫자는 전송 속도 뒤 숫자는 전송 거리를 의미한다.

T는 100m 까지 전송 가능해서 중간에 중계기가 있어야 함.

2는 200m고 5는 500m까지. 

 

LAN 은 10Mbps 까지 전송 속도 제한

FDDI는 100Mbps 까지 전송 속도 제한

 

 

허브 스위치 라우터

공유기와 허브는 다르다.

공유기는 하나의 인터넷 회선을 여러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IP를 할당하는 장치이다. 

공유기를 거치면 IP가 여러 개가 된다.

 

허브는 

공유기 포트가 부족하니까 쓰는 장치

IP할당 기능은 없고 공유기에서 받은 것을 나눠주는 장치로 허브 혼자서는  IP할당 못함

데이터 패킷이 한 포트로 들어오면 허브는 연결된 포트로 브로드캐스팅한다.

단점은 원하는 목적지가 아닌 다른 포트에도 나눠줄 수 있다는 점이다. 

보안 문제도 있고 불필요한 트래픽이 발생하여 대역폭이 낭비된다.

 

스위치

네트워크 장치에서 이더넷 연결을 허용하는 여러 포트가 있는 장치로 허브와 유사하다.

스위치는 허브보다 지능적이다.

스위치는 연결된 장치의 MAC이라는 물리적 주소를 테이블에 저장한다.

MAC 은 고유 번호를 의미한다. 

허브와는 다르게 의도된 대상 포트로만 전달한다. 

 

 

라우터

허브와 스위치는 LAN 내 데이터를 교환하는데 사용된다.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라우팅하려면 장치가 IP를 읽을 수 있어야 한다. 

허브와 스위치는 IP를 읽지 못한다. 

라우터는 IP를 읽고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라우팅하거나 전달한다. 

라우터가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면 라우터는 데이터 IP 주소를 검사한다.

우리 네트워크의 데이터 패킷인지 확인하고 우리 것이면 수신한다.

 따라서 라우터는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이다. 

라우터는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상이한 네트워크를 연결한다. 

 

정리하자면 허브와 스위치는 네트워크를 만드는데 사용되고

라우터는 네트워크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OSI 7계층에서 2층은 데이터 링크 계층이다.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서로 연결하는 요소를 Bridge 이다. 

 

bridge는 스위치처럼 동일 네트워크를 연결한다. 

하지만 bridge는 다른 네트워크 연결을 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윈도우 네트워크와 매킨토시 네트워크 연결 못한다.

다른 네트워크 연결은 라우터가 한다. 

bridge는 OSI 7계층에서 데이터링크 계층

라우터는 OSI 7계층에서 네트워크 계층

 

https://youtu.be/1z0ULvg_pW8

 

'컴퓨터공학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 와 서브넷 마스크  (0) 2021.11.03
데이터통신 일반2  (0) 2021.08.15